본문 바로가기
곤충학개론

하루살이는 정말 하루만 살까? 하루살이에대한 정보들

by 감자이야기 2022. 8. 9.
반응형

하루살이의 뜻과 기록들

하루살이는 곤충강 하루살이목에 속하는 곤충의 대부분을 아울러서 부르는 말입니다. 

그렇다면 하루살이는 얼마나 지구에 오랫동안 살았을까요?? 최초의 하루살이는 석탄기때 등장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폐름기 화석에 의하면 이 당시 하루살이는 앞날개와 뒷날개의 크기가 같고, 3쌍의 다리는 길고 날씬한 모습을 같추었던 것으로 보아 현생 하루살이와는 많이 달랐다고 보고있는데요. 쥐라기 때의 화석을보면 뒷날개가 퇴화되어 현생종들과 비슷한 하루살이가 번성했다고 합니다. 신생대 제 3기의 발틱 호박에서 이와같이 증명이 되었다고 하는데 고대 하루살이와 현생 하루살이는 다르지만 잠자리와 함께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특징

이름처럼 대개 우화한 지 1~2일 동안 생존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난태생 종들은 14일간 사는것도 있다고 합니다.

유충의 경우는 1개월에서~ 최대 3년동안 생활을 하는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성충의 존재 이유는 오로지 번식! 번식을 위해서 성충이 된다고 합니다. 성충은 두 기간의 성충기를 가진다고 하는데 약충 종령에서 탈피 후에는 아성충 마지막 탈피 뒤가 바로 성충입니다.

또한 하루만 사는 이유가 기관인데 입이 퇴화해서 기능을 못 하기 때문에 음식을 먹지못해서 굶어 죽는것입니다..

입은 기껏해야 수분을 섭취할 때나 가끔 쓰이고 그 외엔 할 수 있는 게 없답니다..ㅠ 참 슬프죠..??

부화하자마자 24시간동안 밥도 못먹고 번식만 하다 죽는 것 입니다. 스펀지에서도 소개되었던적이 있죠.

성충의 경우 주요 특징으로 날개의 날개맥과 뒷날개의 유무 복부 끝의 꼬리털 발목 마디수 수컷의 외부 생식기와 배 및 날개의 색무늬를 들수가 있는데 아성충의 경우 색이 어둡고 날개에 연한 털을 갖고 있는 점으로 성충과 구별이 가능합니다.

머리의 촉각은 2마디이며 매우 짧고 끝에 센 가시털이 있어요. 홑눈은 3개이며 겹눈은 수컷이 암컷보다 큽니다. 일부 종의 경우 막대 모양의 특이한 형태의 겹눈이 있기도 한데 구기는 흔적적이며 사용은 못한답니다..

가슴은 세 마디로 분명하게 구분되어있어요. 앞다리는 다른 다리들보다 길며, 또한 성에 따른 차이를 보여 암컷보다 수컷이 더 깁니다. 이렇게 긴 이유는 암컷을 좀 더 효율적으로 붙들어 교미를 하기 위한것입니다.

 

생태

하루살이는 깨끗한 물에서만 산다고 알려져 있으나, 종류에 따라 유충이 1~3급수에서 발견이 됩니다. 다만 완전히 오염된 물에서 사는 깔따구와는 달리 하루살이가 나오는 지역은 어느정도 환경이 보존된 지역이라는 것을 방증하기도 합니다.

어쨌거나 한꺼번에 나타나면 충격과 공포로 다가오죠...

특히 동양하루살이는 혐오감을 주는 외모 그리고 조명이 있는 곳을 향해 떼로 출몰하는 습성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싫어하는데요. 밤 사이 죽은 동양하루살이 사체 더미가 주변에 쌓이게 되어 악취를 풍기고 미관을 해쳐 인근 주거지나 상가가 피해를 입기도 합니다. 특히 한강 인근의 수질이 개선되면서 동양하루살이 떼가 강남과 압구정 인근에 떼로 출몰! 여름마다 상권 주변에 많은 피해를 주고 있습니다. 또 남양주 덕소에서 많이 나타나 덕소 팅커벨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결론

하루살이처럼 산다 또는 하루살이처럼 살지말아라 등의 말을 해본적이 있거나 들어본적이 있으실겁니다.

하루살이는 하루를 정말 치열하게 내일이 없이 정말 오늘만 바라보고 사시는 분들이 많이 들을실텐데요.

흔히 목숨 아까운 줄 모르고 소위 용자스러운 행동을 하는 사람을 빗대어서 오늘만 사는사람 즉 하루살이처럼 사는사람이라고도 부르죠.. 실제 역사에서 2차대전 스탈ㄹ린그라드 전투에 투입된 소련군 신병의 평균 생존시간이 24시간 이었다고 합니다. 짝짓기를 위해 성충이되어 혼이 불타도록 경쟁하고 짝짓기를 한 뒤 소멸하는 하루살이들처럼 우리도 하루를 열심히 치열하게 살아가보는것은 어떨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