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곤충학개론7

하트날개를 가지고있는 벌레! 나방파리 퇴치법과 특징들 특징과 인체에 끼치는 영향! 나방파리는 날개가 하트 모양이고 털이 많이 나있는게 특징이다. 보통 진한 검정색 회색 황색 드물게 적색 등으로 다양하며 유충의 경우 검정색이며 크기는 아주 작고 가는 것부터 손가락 한 마디 정도 되게 큰 것까지 다양합니다. 크기가 작은데다 하트 모양으로 동글동글해서 의외로 귀엽다는 평이 있는 한편, 단순히 한두 마리 앉아있는 것 가지고도 혐오스러워하는 사람도 있다. 사실 확대해 보면 나방의 전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 꽤 징그럽지만, 크기 자체가 워낙 작기 때문에 나방을 웬만큼 무서워하는 사람도 쌀나방 과 함께 나방파리는 무서워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확대한 사진을 본 적이 없는 사람이 위의 사진을 보면 그 곤충과 동일한 곤충인지 모를 수도 있습니다. 주로 오염된 하천, 연못.. 2022. 8. 25.
사마귀! 진짜 포식짜일까? 사마귀에대한 오해와진실들 사마귀의 특징 몸이 크고 갈색 또는 녹색이다. 앞다리가 낫처럼 구부러져 먹이를 잡아먹기에 편리하며 겉으로 보이는 이미지처럼 상당히 공격적이다. 이러한 생김새를 보면 짐작할 수 있지만 육식을 즐겨하는 곤충이다. 현생하는 곤충치곤 꽤 늦게 등장한 곤충으로, 대다수의 곤충이 고생대 페름기 무렵에 등장한 것에 비해 사마귀는 백악기에 등장했다. 앞발이 인간의 팔처럼 먹이를 잡고, 하는데 대부분 팔이라 하는 사람도 있지만, 구조상으로 앞발에 가깝다. 주로 서식지가 겹치는 메뚜기의 친척이자 천적으로 비교당하지만 메뚜기와는 분류학적으로 거리가 멀며 바퀴나 흰개미에 가까운 족속이다. 이를 증명하듯 사마귀도 어마어마한 생명력을 자랑한다. 여러 해충을 잡아먹어주는 덕분에 익충으로 분류된답니다. 다만 아무리 사마귀가 먹성이 .. 2022. 8. 18.
돈벌레라고 불리는 그리마! 해충일까?익충일까? 그리마(돈벌레)의 특징과 먹이들! 그리마는 절지동물 다지아문 지네강 그리마목 그리마과에 속하는 종들을 통칭해서 부른답니다. 흔히 돈벌레라고 불리는데 발이 50개로 보일 만큼 많기때문에 동남 방언엔 설레발이! 쉰발이라고도 불렸다고 합니다. 중세 한국어로는 그르메너흐리라는 긴이름을 가지고 있었고 지차리,사력이, 당지네라고도 불렸답니다. 외모는 대한민국에서 볼 수 있는 벌레 중 곱등이나 바퀴벌레만한, 사람에 따라 바퀴벌레보다혐오 스럽게 생긴 절지동물이며, 가늘고 긴 여러 다리와 물결치듯 빠르게 다리를 움직이며 달려가는 등의 흉악한 용모로 사람들에게 오랫동안 미움을 사왔다. 실제로 백과사전 등에 실린 그리마에 대한 설명에서도 "불쾌한 행동과 모습으로 피해를 준다"고 나와있다고 하니 우리나라 사람들이 참 많이 혐.. 2022. 8. 15.
기생충 연가시!! 그는 어떤 생물인가? 연가시의 특징과 생태 연가시는 유선형동물문에 속한 동물들의 총칭 또는 종을 이르는 말입니다. 흔히 사마귀선충 철선충 철사벌레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며 일반적으로 실뱀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길이는 길면 30cm에서 최대 90cm 정도가 될 때도 있지만 이 정도로 큰 것은 보기 힘들고 대부분 10~15cm 정도의 크기로 자라서 곤충 뱃속의 양분을 다 가로채면서 내장 기관이나 혈체강 내부에 몸을 배배 꼰 채로 살아간답니다. 연가시의 최적의 기생 대상은 잠자리 모기 하루살이 날도래 강도래 깔따구 각다귀 꽃등과 같은 반수서곤충이 1차 기생대상이고 사마귀 여치 육식/잡식성 딱정벌레등이 최종 목표로 알려져 있습니다. 만약 연가시가 유충 상태가 아닌 알 상태로 곤충 유충에게 잡아먹히거나 1차로 기생한 유충이 .. 2022. 8. 11.
반응형